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 2024

by 스마트가이드 2024. 5. 29.

쉽고 빠른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을 찾고 계셨나요?

2024년 5월 20일부터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로 신분증을 깜빡하면 진료비 폭탄을 맞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모바일 신분증 중 가장 쉽고 빠른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받고 편리하게 사용하세요!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다양한 모바일 신분증 중 발급 방법이 가장 간단하고 쉽습니다.

한 번만 발급받으면 병원 진료 시 편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모님 휴대폰에도 설치해 주시면 좋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은 삼성갤럭시와 같은 안드로이드폰은 ‘Play 스토어’에서, 아이폰은 ‘App Store’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검색한 후 설치하면 됩니다.

 

1. 휴대폰에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 설치하기

2. ‘건강보험증 불법사용 금지!’ 경고창에서 [다시 보지 않기] 누르기

3. [개인입니까?] 누르기 > ‘개인을 선택했습니다. 맞습니까?’에서 [확인] 누르기

4. ‘언어를 선택하세요’에서 ‘한국어’ 선택됨으로 되어 있으면 [확인] 누르기

5. ‘완벽한 개인정보 보호’에서 [다음] 누르기 > [다음] 누르기 > [확인] 누르기

6. ‘기능 접근 권한 안내’에서 [확인] 누르기 > ‘약관 전체동의’ 체크하기 > [확인] 누르기

7. ‘모바일 건강보험증에서 알림을 보내도록 허용하시겠습니까?’에서 [허용] 누르기 > [허용] 누르기

8. ‘모바일 건강보험증’에서 [본인확인 하기] 누르기

9. ‘본인확인 인증 안내’에서 [다음] 누르기 > ‘휴대폰 인증’ 또는 ‘금융인증서’ 선택하기 > [확인] 누르기 > 본인 인증하기

10. ‘비밀번호 설정’에서 숫자 4자리 입력하기 > ‘생체인증으로 로그인 하시겠습니까?’에서 [사용하기] 누르기 > 생체 인증 후 [확인] 누르기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모바일 건강보험증 사용 방법

1. 휴대폰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 실행하기

2. 비밀번호 4자리 또는 생체인증으로 로그인하기

3. 화면 하단 중앙에 위치한 [QR제출] 누르기 > 병원 접수처에 QR코드 보여주기

 

 

모바일 건강보험증 번호 확인 방법

1. 휴대폰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 실행하기

2. 비밀번호 4자리 또는 생체인증으로 로그인하기

3. 화면 하단 왼쪽에 위치한 [건강보험증] 누르기 > 11자리 숫자로 된 '증번호' 확인하기

 

 

미성년자 자녀 등 예외 대상자

미성년자는 본인확인 예외 대상이라 기존과 같이 주민등록번호 등을 제시하여 진료받을 수 있습니다.

미성년자, 재진, 약국, 응급실 등 예외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성년자 : 19세 미만 사람에게 요양급여를 실시하는 경우
  • 재진 : 해당 요양기관에서 본인 여부 및 그 자격을 확인한 날로부터 6개월 이내 진료
  • 처방약 조제 : 의사 등 처방전에 따라 약국 약제를 지급하는 경우
  • 진료 의뢰·회송 : 진료 의뢰 및 회송받는 경우
  • 응급환자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응급환자
  • 기타 : 거동 불편자 등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중증장애인, 장기요양자, 임산부)

 

 

신분증 대체 수단

병원 진료 시 신분증 대체 수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로 신분증 사본(캡처, 사진 등), 각종 자격증 등은 전자신분증이 아니며 사용 불가합니다.

  • 신분증 : 건강보험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국가보훈등록증, 장애인등록증, 외국인등록증, 국내거소신고증, 영주증 등(행정·공공기관이 발행한 증명서 또는 서류, 사진과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것에 한함)
  • 전자서명인증서 :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금융인증서(금융결제원), 디지털 원패스(행정안전부), 간편 인증(PASS, 네이버·카카오 인증서, 삼성페이, NH인증서 등) 등
  • 본인확인 서비스 : 통신사 및 신용카드사(NH농협카드 등), 은행(KB국민은행) 등
  • 전자신분증 : 모바일 건강보험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확인서비스(PASS) 등

 

 

신분증 미지참시 진료 방법

신분증 미지참시에도 진료는 가능합니다.

다만 신분증 지참 시 내지 않아도 되는 공단부담금도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추가 납부한 공단부담금은 14일 이내에 신분증과 영수증을 지참하여 병원에 방문하면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증 불법 사용 시 처벌

‘국민건강보험법 제115조’에 의거하여 타인의 건강보험증(신분증)을 빌려주거나 도용해 진료받을 경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 2024

 

 

jisun kim (prompterjs@naver.com)